지난번 글에서 게임 사업 기획의 역할, 게임 개발 프로세스에서 게임 사업 기획이 참여하는 방식에 관하여 이야기를 해 보았습니다.
▼ 이전 글 참고 :
2022.11.21 - [Manuals/게임 사업 기획] - [게임 사업 기획] 1주차 - 게임 사업 기획의 역할
[게임 사업 기획] 1주차 - 게임 사업 기획의 역할
안녕하세요. 게임회사 가오리입니다. 제가 이 블로그를 만든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게임사업기획 직무 관련 정보를 연재해보려고 합니다. 사업과 기획은 많은 분 들이 게임 업계에 관심을 가
gamegaori.tistory.com
오늘은 정식 프로젝트 세팅 이후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5. Alpha 빌드 개발
이 단계는 본격적인 게임 개발을 시작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와 관련된 모든 요소를 빌드로 구현하는 단계이죠.
이 단계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게임 전체 구조 디자인
· 게임 룰 디자인 (규칙, 목표, 동기)
· 게임 목표 및 동기 디자인 (세계관, 보상)
· 게임 UI 디자인
전체적인 목표는 게임의 가장 핵심이 되는 재미 요소를 구축하는 것 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밸런스 등 각종 재미를 발전시켜나가는 데에 필요한 요소는 미뤄 두어도 괜찮습니다.
왜냐하면 Alpha 빌드는 완성된 시스템 단계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혹시라도 테스트 과정에서 앞단의 시스템이 바뀌면 밸런스를 다시 해야 하는 등의 경우가 있기 때문에 미뤄놓는 게 좋습니다.
빌드가 완성되면 플레이해보면서 기획했던 게임의 핵심 재미가 명료하게 전달되는지 확인해 봅니다.
만약 재미가 안 느껴지면........

6. Beta 1 빌드 개발
Alpha 빌드가 핵심 게임 플레이를 잘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면
게임 완성시키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핵심 재미 요소 중심으로 추가 재미 요소 및 부수적인 사항도 함께 개발합니다.
Beta 빌드에서 필요한 개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게임 추가 모드 디자인
· 게임 유료화 요소, 상점, 아이템 디자인
· 게임 소셜 기능 디자인(채팅, 쪽지, 길드, 선물등)
· 게임 퀘스트 및 스토리 라인 디자인
밸런스 제외한 모든 게임 실제 구현이 목표입니다.
라이브 시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이 모두 들어가야겠죠.
7. Beta 2 빌드 개발
Beta 1 빌드가 완성된 이후, 게임의 완성도나 이슈에 대한 평가를 진행합니다.
특별히 문제가 없다면 서비스에 필요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현합니다.
이젠.. 돌아갈 수 없어요.
Beta 2 빌드 개발에 필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게임 밸런스 디자인
· 게임 레벨 디자인
· 게임 운영툴 디자인
그동안 임시로 넣어놨던 에셋 등 각종 퀄리티를 라이브 수준 단계로 높입니다.
완성에 가까워진 게임의 최적화 진행 작업을 합니다.
이외에 연동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 필요한 SDK 추가하고 충돌 없는지 확인합니다.
8. FGT
Beta 2 빌드 제작이 완료되고 필요한 내용이 다 구현되었다고 판단되면
게임성 검증을 목표로 FGT를 진행합니다.
라이브 전에 외부 테스트를 해보는 것은 중요한데,
라이브 진행하고 나면 돌이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작업자들은 제작과정에서 게임에 익숙해지기에 게임의 재미나 난이도에 대해 객관적 판단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 게임 메인 타겟유저 10 ~ 50명 정도 대상으로 진행하는 소규모 비공개 테스트
당연한 얘기지만 타겟 유저 설정에 주의해야 합니다.
게임 경험은 주관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라이브에서 마주할 실제 타겟 유저 반응과는 상이한 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9. CBT
FGT를 리뷰하고 부족한 점 보완 후 필요하거나 여건이 되는 경우 CBT를 진행합니다.
· 일반 유저 n천명 ~ n만 명 정도 대상으로 진행하는 소규모 비공개 테스트
대중적으로 유저에게 게임이 공개되는 첫 번째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개발은 대부분 완료된 지점이기에
사업, 마케팅, 운영 등 게임 운영인원이 본격적으로 투입되는 단계입니다.
CBT에서도 동일하게 게임성 검증을 목표로 합니다.
많은 유저를 받아보며 서버 안정성, 다양한 사양에서 게임 동작 여부를 확인합니다.
게임 규모, 완성도에 따라 두 세 차례 반복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CBT 진행해서 개발 여건상 개선이 가능한지 여부가 중요한 것 같아요.
10. QA 및 라이브 준비
물론 이전의 단계에서도 QA는 진행되어 왔지만,
개발이 완료되고 스토어에 올리기 직전 상태인 만큼 꼼꼼하게 QA를 진행하고 버그를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CBT에서 발견된 부족한 점을 보완하며 최종 서비스 빌드를 개발합니다.
사업, 마케팅이 사전 예약 및 런칭 프로모션을 준비합니다.
커뮤니티를 운영합니다.
마케팅 비용, 투입 리소스 규모 결정하고 라이브 일정에 맞춰 매체 협의 합니다.
11. 라이브
모든 준비가 완료되었으면 스토어 심사를 진행하고 빌드 라이브를 진행합니다.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일정에 맞추어 라이브를 진행합니다.

여기까지 게임 개발 프로세스의 대략적인 과정에 대하여 살펴봤습니다.
말씀드린 과정이 모든 프로젝트에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또 이 중 사업 담당자의 역할이 이중에 정확히 무엇인지 명료하게 뽑아내기는 애매한 것 같습니다.
담당자의 권한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고, 직무의 경계가 애매하기 때문에 별도로 설정되지 않고 타 직무가 겸업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니까요.
중점은 개발의 결과물이 상품성을 가질 수 있도록 그 전 과정에 필요한 일을 서포트하는 역할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러다 보니 업무를 내일 니일 가르는 게 쉽지 않은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2022.11.21 - [Manuals/게임 사업 기획] - [게임 사업 기획] 1주차 - 게임 사업 기획의 역할
[게임 사업 기획] 1주차 - 게임 사업 기획의 역할
안녕하세요. 게임회사 가오리입니다. 제가 이 블로그를 만든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게임사업기획 직무 관련 정보를 연재해보려고 합니다. 사업과 기획은 많은 분 들이 게임 업계에 관심을 가
gamegaori.tistory.com
'Manuals > 게임 사업 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사업 기획] 4주차 - 게임 업계 관련 용어 (개발편) (0) | 2023.01.29 |
---|---|
[게임 사업 기획] 3주차 - 게임 업계 관련 용어(사업, 운영 편) (0) | 2023.01.27 |
[게임 사업 기획] 1주차 - 게임 사업 기획의 역할 (0) | 2022.11.21 |